전체 글 213

족저경 포도스코프(podoscope)를 이용한 자세평가(posture assessment)

김형욱의 칼럼언어 자세분석(posture analysis)과 자세평가(posture assessment)를 위해서 많은 검사 수단과 방법이 존재합니다. 갈수록 최첨단 장비들이 개발되고 소개되고 있으니, 머지않은 미래에는 간단한 어플만으로도 자세(posture)를 확인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입니다. 하지만 자세(posture)를 확인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신체 부위는 '발(foot)'입니다. 발(foot)이야말로 지면(ground)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으며, 인체에 실리게 되는 중력(gravity)의 가장 최하단 지점이 됩니다. 또한 모든 자세평가(posture assessment))는 발(foot)에서부터 시작합니다. 그것이 정적(static)이든 동적(dynamic)이든, 모든 분석의 시작점..

매뉴얼테라피(manual therapy)로 보는 인체 움직임 회복(movement recovery)

김형욱의 칼럼언어 14년도부터 교육을 시작했으니, 그간 겪었던 날들을 생각해보면 감회가 참 새롭습니다. 현재로서는 현장에서 단 두 가지만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과 매뉴얼테라피(manual therapy)입니다. 기존에 작성한 대부분의 내용들은 기능해부학과 관련된 글이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주변에서 매뉴얼테라피(manual therapy)에 대한 궁금증과 문의를 상대적으로 더욱 많이 주십니다. 해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매뉴얼테라피(manual therapy)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고자 합니다. 솔직히 말해서,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이나 매뉴얼테라피(manual therapy)나 수단과 원칙은 동일합니다. 둘 모두 우리의 몸을..

플로스 밴드(floss band)를 이용한 가동성 운동(mobility training)

김형욱의 칼럼언어 플로스 밴드(floss band) 또는 플로싱 밴드(flossing band)의 정식 명칭은 부두 플로싱 밴드(voodoo flossing band)입니다. 이것은 플로싱(floosing)이라는 기법을 통한 마법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는 밴드(band)라고 풀이할 수 있습니다. 이때, 마법과 같은 효과는 일반적으로 가동성(mobility) 향상을 의미합니다. 플로스 밴드(floss band)의 기본 기법은 플로싱 기법(flossing technique)이지만, 플로싱 기법(flossing technique)에도 서로 다른 몇 가지 기전(mechanism)들이 존재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기전(mechanism)들, 즉 가동성 운동(mobility training)에 대해..

고니어미터(goniometer)를 이용한 관절 가동범위검사(ROM test)

김형욱의 칼럼언어 관절 가동범위(ROM)는 가동성(mobility)을 포함한 이외의 다양한 움직임 능력(movement ability)을 판별하는 데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에 해당됩니다. 그렇다 보니 실제 현장에서 일부 전문가들은 관절 가동범위(ROM)검사를 통하여 대상자의 움직임 능력(movement ability)을 측정하고 변화의 양상을 관찰(observation) 및 분석(analysis)하기도 합니다. 이때 관절 가동범위(ROM)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방법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합니다. 능동적(active), 능동보조적(active-passive), 그리고 특별한 의료장비나 검사도구 등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근래 들어서는 영상기기와 생체인식시스템이 개발되고 발달되어, 더욱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검..

근육 유착(muscle adhesion)은 그렇게 만만한 게 아닙니다.

김형욱의 칼럼언어 근래 들어 포스팅의 주제와 제목을 정하면서, 지금의 본 포스팅이 가장 오래 고민했습니다. 막상 서술할 생각을 하고 보니, 알게 모르게 근육 유착(muscle adhesion)에 대해서 하고 싶었던 말이 많았던 모양입니다. 그만큼 이 부분에 대해서는 우리가 간과하고 있었던, 그리고 쉽게 알지 못했던 요소들이 많습니다. 실제 교육현장에서 근육 유착(muscle adhesion)에 대한 의미와 중요성을 종종 언급하곤 합니다. 하지만 교육현장에서는 개념 및 용어 이해도를 위해, 이미 널려 있는 정보들이 주를 이루었을 뿐입니다. 이번 기회에 본 포스팅에서는 보편적인 내용을 뛰어넘는 이야기들을 써 내려갈까 합니다. 근육 유착(muscle adhesion)은 인체 내부에 생기는 흉터(scar)로 비..

분할운동(divisional training)은 무조건 나눈다고 좋은 게 아닙니다.

김형욱의 칼럼언어 분할운동(divisional training)은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신체 부위별로 운동수행이 가능할 때 논의되는 개념입니다. 많은 운동 종목에서 분할운동(divisional training)의 개념을 도입할 수 있지만, 보편적으로는 일반적인 다이어트(diet) 또는 근육증가(muscle gain)를 목적으로 하는 운동 프로그램에서 사용되곤 합니다. 게다가 많은 퍼스널트레이너들이 회원들에게 운동을 지도할 때에도 분할운동(divisional training)으로 지도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분할운동(divisional training)에 대해서, 몇 가지 오해와 더불어 비효율적인 방식이 혼재하고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본 포스팅의 제목처럼 무조건 신체 부..

코로나백신접종(corona vaccination) 후 운동(exercise)해도 괜찮을까?

김형욱의 칼럼언어 연초부터 코로나백신접종(corona vaccination)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미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백신 접종(vaccination)을 했으며, 그 인원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코로나바이러스19(corona virus 19)는 작년부터 거세게 이어지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인 증상들이 동반되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우리네 일상에 침범한 부분이 너무 강력하기 때문에, 코로나백신접종(corona vaccination)에 대한 부분도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나아가, 지금 당장 백신접종(vaccination)을 한 경우라면, 접중 이후 주의사항에 대한 부분까지 관심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코로나백신접중(corona vacci..

운동 프로그램의 구성요소(training component)와 상관관계

김형욱의 칼럼언어 운동(training)에도 특정한 원리와 원칙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기준들은 세대에 걸쳐 연구되고 이론화된 결과에 의합니다. 수많은 학자들이 잘 정리한 다양한 기준들은 모두, 인체의 기본적인 생리학적 배경의 따릅니다. 그러니 본래 운동을 알기 위해서는 우리의 몸을 알아야 합니다. 세상의 모든 운동들은 몸으로부터 비롯된 이야기니 아주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운동(exercise)은 단순히 움직임(movement)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운동이 움직임과 다른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이 있다면, 목적에 따른 자극(stimulation)과 반응(reaction)입니다. 건강상의 목적을 지닌 채,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반응(reaction)을 도출시키는 최소한의 자극(minimum st..

마법과 같은 효과를 가져다주는 플로싱 밴드(flossing band)

김형욱의 칼럼언어 21세기 이래, 여느 학문과 같이 운동 관련 학문들도 많은 발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이것은 현대 사람들이 겪기 쉬운 질환(disease), 통증(pain), 손상(injury) 등과 관련하여 더 그럴 것입니다. 그렇다 보니 기존의 학문에서부터 새롭게 생겨나는 분야와 직업, 그리고 다양한 유형의 것들이 탄생되기 마련입니다. 본 포스팅에서 소개하게 될 플로싱 밴드(flossing band)라는 것 또한 그렇습니다. 이것은 인간 움직임(human movement)과 관련하여 특정 이론 및 임상을 기반하여 시작된 운동 소도구입니다. 제목만 봤을 때에는 상당히 믿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잘만 사용하면 실제로 마법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무엇 때문에 이런 효과를 볼 수 ..

가동성 제한(mobility limit)을 부추기는 요인에 대해서

김형욱의 칼럼언어 가동성(mobility)이란 적절한 생체역학적인 움직임(biomechanical movement)으로, 쉽게 표현하면 최소한의 힘으로 최대한의 효율을 지속적으로 발휘하면서, 스스로 움직임을 조절하면서 수축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가동성(mobility)이 좋을수록 효율적인 움직임을 생성해내기 때문에,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해당 조직(tissue)에서는 부담이 덜 가는 반면, 이들이 각자 지니고 있는 능력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가동성(mobility)은 쉽게 제한이 되기도 합니다. 가동성(mobility) 제한을 부추길 수 있는 요인에 대해서 일일이 나열하자면 끝도 없이 들 수 있지만, 본 포스팅에서는 크게 두세 가지 요인에 대해서 압축시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