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iprocal inhibition 3

근육 긴장(muscle tightness)과 함께 살펴보는 자가억제(autogenic inhibition)와 상호억제(reciprocal inhibition)

김형욱의 칼럼언어 근육(muscle)은 쉽게 긴장(tightness)되는 것을 넘어서, 본래 긴장성 능력(tightness ability)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다른 조직(tissue)들과 함께, 더 나아가서는 다른 조직(tissue)들이 책임지지 못하는 안정성 능력(stability ability)을 보상적으로(compensatory) 발휘하기 위해섭니다. 게다가 근육(muscle)이 긴장성 능력(tightness ability)을 지니고 있는 것은, 근육(muscle)의 고유 능력(original ability)이라고 할 수 있는 수축 성질(contraction properties)을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이전에 여러 글에서도 소개했던 것처럼,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수의적인 근..

길항근(antagonist)이 주동근(agonist)을 막아서는 상호억제현상(reciprocal inhibition)

김형욱의 칼럼언어 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모든 근육불균형(muscle imbalance)은 시각적으로도 쉽게 관찰됩니다. 다양한 환경 중에서 가장 관찰되기 쉬운 환경은 동적인 상태(dynamic state)일 것입니다. 대상자가 신체 부위 어디를 움직이든지 간에, 근육불균형(muscle imbalance)이 내재되어 있다면 해당 부위의 관절 움직임(joint movement)은 특정한 움직임손상(movement impairment)이 동반될 것입니다. 바로 이전의 포스팅에 이어, 이번도 근육불균형(muscle imbalance)의 한 현상인 상호억제현상(reciprocal inhibition)입니다. 이 현상이야말로 가장 두드러진 시각적인 변화를 드러내게 됩니다. 무엇 때문에 그렇게 될까요. 인체의 각..

주동근(agonist), 협력근(synergist), 길항근(antagonist)으로 알아보는 근육 불균형(muscle imbalance)

김형욱의 칼럼언어 흔히 근육 불균형(muscle imbalance)하면 얀다(Janda)의 교차증후군(cross syndrome)을 떠올리기 쉽습니다. 얀다는 일부 근육들이 교차적으로 특정 규칙에 의거하여 긴장(tightness) 및 단축(shortening), 그리고 약화(weakness) 및 신장(lengthening)에 따른 근육 불균형(muscle imbalance)의 교차증후군(cross syndrome)을 정립하였습니다. 해당 이론은 오늘날까지 여러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그 분야는 의학(medicine), 물리치료학(physical therapy), 운동학(kinematics) 등이 됩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근육 불균형(muscle imbalance)에 대한 개념은, 얀다(Janda)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