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욱의 칼럼언어

움직임(movement)의 힘(force), 안정성(stability) VS 가동성(mobility)

김형욱(바디투마인드) 2023. 1. 24. 12:39
김형욱의 칼럼언어

 움직임(movement)과 관련된 수많은 개념 중,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은 숱하게 등장하는 용어입니다. 이것은 움직임(movement)의 힘(force)을 제공해주는 데에 핵심적인 기반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것은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에 대해서 잘못 알려진 내용들이 많다는 데에 있습니다. 이것은 아마도 (본 포스팅을 통해서 자세(posture)히 소개하겠지만) 용어에서 느껴지는 자체적인 의미와 함께, 몇몇 학자들이 이들 용어를 풀이하는 과정에서 생긴 결과일 것입니다.
 저는 이번 글을 통해서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에 대해서, 아주 심층적으로 이야기해보자 합니다. 이 글을 통해서, 그동안 무심히 알고 있던 이들 개념에 대해서 새로운 관점이 열릴 겁니다.

 


 당신이 알고 있는 안정성(stability) VS 가동성(mobility)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에 대한 의미에 대해서 다양한 차원에서 이야기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정보들로 표현하자면, 안정성(stability)이란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능력(supporting ability)인 반면, 가동성(mobility)이란 신체를 움직일 수 있는 능력(movable ability)입니다. 그렇다 보니 안정성(stability)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 자세(posture)나 특정 움직임(specific movement)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지 능력(supporting ability)을 관찰합니다. 가동성(mobility)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조직(tissue)들의 유연성(flexibility)이나 수용 가능한 관절 가동범위(joint ROM) 등과 같은 능력(ability)들을 관찰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운동지도자들에게 있어, 오래전부터 수행되어온 일반적인 과정이고 절차입니다.

 이와 더불어 관절 간 상대성 이론(joint by joint approach), 그리고 움직임피라미드 이론(movement pyramid theory) 등도 우리에겐 이미 익숙합니다. 관절 간 상대성 이론(joint by joint approach)은 인체 내에 위치하는 관절(joint)들이 서로 인접한 관계 내에 있을 때에는 서로 다른 안정성(stability) 및 가동성(mobility) 능력(ability)이 교차적으로 형성되고 발휘되어야 한다는 이론(theory)입니다. (물론 동시에 그 반대적인 관점으로 봤을 때, 특정 능력(ability)이 그만큼 떨어지는 만큼 그러하듯이) 움직임피라미드 이론(movement pyramid theory)은 정상적인 움직임(normal movement)을 발휘하기 위해 다양한 인체 능력(ability)들을 고려할 때, 다른 어떠한 능력(ability)보다도 안정성(stability) 및 가동성(mobility)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이론입니다.

 허나 그러한 이론(theory)들은 우리를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그러나 제가 생각할 때에는, 안정성(stability)이나 가동성(mobility)이라는 표현을 언급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그 이유는 다른 데에 있지 않습니다. 어쩌면 믿기 어려울 수도 있겠지만, 안정성(stability) 및 가동성(mobility)이라는 능력(ability)은, 서로가 개별적인 능력(ability)이 아닌 둘 다 동일한 능력(ability)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지금 언급한 이야기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이 동일한 능력(ability)이라는 이야기에 대해서 말입니다.

 진짜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

 실은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이라는 의미는, 말 그대로 우리가 인체 움직임(movement)을 분석(assessment)하거나 유의미한 방식으로 접근하기 위해 고안한 표현일 뿐입니다. 그만큼 안정성(stability)의 의미나 가동성(mobility)의 의미나, 인체 움직임(movement)에 대해서 정확하게 해석할 수도, 그리고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도 없는 능력(ability)입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안정성(stability)에 대해서 가동성(mobility)이 전제되지 않는 안정화 능력(stabilization ability)으로만 간주합니다. (그리고 가동성(mobility)에 대해서는 안정성(stability)이 전제되지 않은 가동화 능력(mobilization ability)으로만 간주합니다.) 하지만 완전히 다른 하나의 능력(ability) 없이, 남은 하나의 능력(ability)이 생성될 수는 없습니다. 이것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우리에게 익숙한 근육(muscle)을 떠올리면 됩니다. 근육(muscle)은 기본적으로 가장 고유한 능력(unique ability)은 수축성 능력(contractility ability)입니다.

 

근육수축(muscle contraction)에 대해서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알고 있나요?

김형욱의 칼럼언어 근육(muscle)은 운동을 하든 하지 않든, 우리 모두에게 관심의 대상입니다. 이것은 전신에 분포하여 적지 않은 부피(volume)를 차지하고 있으며, 근육(muscle)의 정도에 따라 몸이

ptful.tistory.com

 수축(contraction)을 통해서 알 수 있는 안정성(stability) VS 가동성(mobility)

 근육(muscle)이 수축(contraction)을 잘 발휘할 때 안정성(stability)을 잘 생성해냅니다. 그리고 근육(muscle)이 수축(contraction)을 잘 발휘할 때 가동성(mobility)을 잘 생성해냅니다. 이것은 이전에 근육 수축(muscle contraction)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히 서술한 적이 있습니다. (바로 위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애초에 수축(contraction)이라는 것이, 움직이지 않는 상황(non-movement situation)과 움직이는 상황(movement situation) 모두에서 발현되는 (그리고 필수적인) 능력(ability)이기 때문입니다. 수축(contraction)은 근섬유(muscle fiber)가 부착(attachment)된  (소위 기시점(origin)과 정지점(insersion)이라 불리는) 전 지점을 근섬유(muscle fiber)의 중심점(center), 또는 해당 근섬유(muscle fiber)가 주행(drive)하게 되는 관절(joint)의 중심(center)적으로 수렴시키는 능력(ability)입니다. 그렇다 보니 직접적으로 관절(joint)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골격(skeleton)에 직접적으로 부착(attachment)되어있다 하더라도, 움직임(movement)이 동반될 수도 있지만 움직임(movement)이 동반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근섬유(muscle fiber)가 중심점(center)으로 수렴하는 힘(force)보다 외력(external force)이 더 크거나 같은 경우에)
 이때 근육(muscle)이 움직임(movement)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황에서의 수축성 능력(contractility ability)을 안정성(stability)이라고 표현할 수 있으며, 반대로 움직임(movement)을 발생시키는 상황에서의 수축성 능력(contractility ability)을 가동성(mobility)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이렇게 이야기한 것도 극단적으로 움직이지 않았느냐, 혹은 움직였느냐의 결과만 가지고 표현한 것일 뿐, 근육(muscle)은 수축(contraction)을 발휘하는 입장에서 (실제적으로 움직이느냐와는 무관하게) 뼈(bone)를 당기려고 할 때, 자체적을 발생되는 수축력(contraction force)이 외력(external force)과 대비하여 얼마만큼의 차이가 있냐에 의해서 움직임(movement) 유무와 양(quantity)이 결정될 뿐이지, 그것을 가지고 구체적으로 안정성(stability)이라고, 혹은 가동성(mobility)이라고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 반복해서 이야기하지만,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이라는 의미는, 말 그대로 우리가 인체 움직임(movement)을 분석(assessment)하거나 유의미한 방식으로 접근하기 위해 고안한 표현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이미 전문가들의 의견도 다르다.

 그렇다 보니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의 능력(ability)에 대해서 많은 전문가들 또한 입장이 달랐습니다. 누구는 원활한 움직임(movement)을 위해서 안정성(stability)이, 또 누구는 원활한 움직임(movement)을 위해서 가동성(mobility)이 더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해왔습니다. 실질적으로 움직임피라미드 이론(movement pyramid theory)을 가지고도 많은 학자들의 의견이 갈리기도 했습니다. 이런 데에는 여러 이유가 존재하겠지만, 본 포스팅에서 밝히고 있는 것처럼 동일한 능력(ability)이기 때문에 그중 특정 능력(ability)을 더 내세우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특정 능력(ability)을 내세우기 위해서는 기준이 필요하다.

 우리는 습관처럼 안정성(stability), 또는 가동성(mobility)을 이야기하지만, 이것은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그러니까 관절(joint)의 입장에서 보는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은 다릅니다. (물론 이 둘은 같은 것이지만, 학문적인 입장에서 구태여 접근한다고 했을 때) 그리고 근육(muscle)의 입장에서 보는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도 다릅니다. 지금 얘기한 관절, 근육(muscle)뿐만 아니라 인대(ligament)나 근막(myofascia) 등을 포함한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조직(tissue)들의 입장에서의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은 다른 조직(tissue)과의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은 다릅니다.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은 움직임(movement)의 힘(force)을 실어주는 (그리고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도 힘(force)을 실어주는) 학문적인 정의일 뿐입니다. 이것을 특정 조직(tissue)에 구태여 대입했을 때에는, 각 조직(tissue)들의 성분적인(component), 구조적인(structural), 기능적인(functional) 등의 차이가 있는 만큼, 각각의 조직(tissue)이 발휘하게 될 능력(ability)들은 세세하게 다릅니다.

 사람들은 어떤 구조물(structure)의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을 이야기해왔는가?

 그동안 당신이 알던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의 개념은, 순전히 관절(joint)의 입장에서만 치우쳐져 있습니다. 하지만 바로 위해서 언급했던 것처럼 다른 구조물(structure), 또는 기타 조직(tissue)들로 넓혀 나갈수록 서로 다른 입장에서는 서로 다른 능력(ability)들이 펼쳐질 겁니다. 그렇다 보니 우리가 알고 있는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은 잘못된 겁니다. 철저히 관절(joint)의 입장에서만 이야기되어왔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그것이 관절(joint)이라는 전제하에 논의된 이야기였던 것을 알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진짜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

 그래서 진짜 안정성(stability)이란 가동성(mobility)이 전제된 안정화 능력(stabilization ability)입니다. 그리고 진짜 가동성(mobility)이란 안정성(stability)이 전제된 가동화 능력(mobilization ability)입니다. 다른 식으로는 이렇게 이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안정성(stability)은 단순히 인체를 지지하는 능력(supporting ability)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능력(movable ability)이라고 말입니다. 반면, 가동성(mobility)은 단순히 인체를 움직이게 하는 능력(movable ability)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으로 움직임(movement)을 고정(fixation) 및 지지(supporting)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ability)이라고 말입니다. 그러니까 안정성(stability)은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게 하는, 가동성(mobility)은 과도하게 지지(supporting)하지 않게 하는 능력(ability)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인체를 움직이지 않을 때와 움직일 때의 상황 모두에서, 필요한 만큼의 능력(ability)만 생성시켜 인체의 기능(function)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ability)인 셈입니다. 이것이 진짜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입니다.

 안정성(stability) VS 가동성(mobility)

 그래서 안정성(stability)이 무너진다면 인체를 지지(supporting)할 수 있는 능력(ability)만 무너지는 것이 아니라, 가동성(mobility)이 함께 무너집니다. 최소한으로 움직이게 하는 능력(movable ability)이 상실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가동성(mobility)이 무너진다면 인체를 움직일 수 있는 능력(movable ability)만 무너지는 것이 아니라, 안정성(stability)이 함께 무너집니다. 최소한으로 지지(supporting)하게 하는 능력(ability)이 상실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능력(ability)들을 별개의 것으로 간주하는 데에는 (앞서 이야기한 것을 포함하여 다른 측면에서는), 특정 구조물(structure)이 결함(defect)을 맞이하게 될 때, 안정성(stability) 및 가동성(mobility) 능력(ability) 중 하나의 능력(ability)에 대해서만 도드라지는 것처럼 발현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처럼, 인체 조직(tissue)들이 유기적으로 기능하는 만큼, 특정 조직(tissue)의 손상(injury) 및 부전(defect)은 인접한 조직(tissue)의 보상(compensation)을 부추기게 합니다. 이때 보상(compensation)하는 곳에서는 원인을 유발시켰던 영역에서의 그 이상의 능력(ability)을 발휘합니다. 결국 가시적으로는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이 혼잡된 형태로 서로 다른 영역(area)에서 불균형(imbalance)적으로 발생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들로 하여금, 둘 중 하나의 능력(ability)에 치우쳐진 것으로 쉽게 오해하게 만듭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야기했던 것처럼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이 동일한 능력(ability)인 만큼, 그 상태에 머물고 있는 조직(tissue)은 모든 능력(ability)에서의 결함(defect)이 발생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김형욱이 읽어주는 '움직임(movement)의 힘(force), 안정성(stability) VS 가동성(mobility)'

 아무리 생각해도 둘의 능력(ability)은 동일한 능력(ability)입니다. 이전에 다른 글을 통해서 근육 수축(muscle contraction)으로 안정성(stability)과 가동성(mobility)을 표현했던 것처럼, 이외의 어떤 구조물(structure)이든지 상관없이 전부를 살펴봐도 동일한 능력(ability)입니다.
 물론 현장에서는 이러한 능력(ability)을 나눌 필요는 있습니다. 단어 그대로의 의미에 맞게 적용되는 검사(test)와 훈련 기법(training technique)들이 개별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단어 그 자체가 드러내고 있는 의미상, 우리는 무언가 특정 능력(ability)에 대해 강조하며 전달하려고 할 때에도 필요한 순간일 것입니다. 하지만 그 이상의 의미는 없습니다. 마지막까지 언급했던 것처럼 진짜 안정성(stability)이 가동성(mobility)이고, 진짜 가동성(mobility)이 안정성(stability)이기 때문입니다.

 


 · 본 포스팅은 직접 작성한 글로, 2차 가공 및 상업적인 이용을 금지합니다.
 · 바디투마인드(http://bodytomind.kr)는 피트니스 교육기관입니다.
 · 뷰전(http://biewsion.kr)은 피트니스 올인원 플랫폼입니다.
 · 오픈채팅방(http://open.kakao.com/o/gfHTXf0c)을 통해서 최신 소식을 접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