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욱의 칼럼언어

척추 분절(spinal segment)에 가해지는 코어 컨트롤 능력(core control ability)

김형욱(바디투마인드) 2023. 1. 18. 06:51
김형욱의 칼럼언어

 이전에도 코어(core)에 대해서, 그리고 코어 컨트롤 능력(core control ability)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들을 다루었지만, 아무래도 이것은 가변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개념이기에 더욱 많은 시각으로 다루어져야 합니다. 그런 면에서 코어(core)의 기능(function)을 단발적으로 무어라 지칭하기 어렵습니다.
 제가 계속해서 써 나가고 있는 내용들은 이러한 성격들이 최대한 반영되어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어 컨트롤 능력(core control ability)을 척추 분절(spinal segment)과 연관 지어 서술합니다.

 


 

 척추 분절(spinal segment)은 모든 방향(direction)으로의 움직임(movement)을 허용한다.

 척추 분절(spinal segment)은 척추사이원반(intervertebral disc)들이 쌓아진 영역으로부터 형성됩니다. 이때 척추 분절(spinal segment)은 뒤쪽(posterior)으로부터 관계하는 후관절(joint)(facet joint)의 구조 양상(structural aspect)에 따라 고유한 만곡 형태(curve shape)를 지니게 됩니다. 비록 서로 다른 분절(segment) 사이에서 발생되는 적절한 움직임(movement)의 방향(direction)과 각도(angle)는 저마다 다르지만, 정도의 차이가 난다 하더라도 모든 분절(segment)에서는 모든 방향(direction)으로의 움직임(movement)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적의 움직임(optimal movement)은 모두 다르다.

 (자세(posture)히 다루지 않겠지만) 후천적 만곡(acquired curve)이 형성된 분절(segment)일수록 더욱 풍부한 가동성(mobility)을 지닙니다. 이것은 선천적 영향으로부터 벗어나, 중력(gravity)에 대항하고 척추(spine)를 기립(erection)시키기 위해 후천적 변화가 수반된 결과입니다. 그러니까 전만의 형태(lordosis shape)로 만곡(curve)이 형성된 척추 분절(spinal segment)일수록 후천적 변화가 발생한 분절(segment)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들 분절(segment)은 선천적 만곡(innate curve)을 후천에서도 지속하고 있는 분절(segment)과는 다르게, 더 나은 가동성(mobility)을 확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부착(attachment)되거나 경유(passing)하고 있는 조직(tissue)들의 수가 적습니다. (일부 조직(tissue)의 경우에는 더욱 많기는 하지만 더 큰 강성(strongness)을 지니고 있는 조직(tissue)들만 따지자면)

 척추 분절(spinal segment)에 코어 컨트롤 능력(core control ability)을 대입할 때

 그렇다면 코어 컨트롤 능력(core control ability)을 척추 분절(spinal segment)에 대입한다면 무엇이라 이야기할 수 있을까요. 기본적으로 근육조직(tissue)을 포함한 조직(tissue)들은 정상 길이(normal length)일 때 (너무 늘어나지도 짧아지지도 않은) 최적의 장력(optimal tension)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지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자세(posture)와 움직임(movement) 상황에서, 언제나 계속해서 중립 상태(normal state)로 강력하게 회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것은 당연히 정적인 장력(static tension)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을 것입니다. 인대나 근막조직(myofascial tissue)이 더욱 그러하기는 하지만, 근육조직(muscle tissue) 또한 섬유성 단백질(fibrous protein)로 구성된 조직(tissue)이기 때문에 수동장력(passive tension)을 효과적으로 생성해내고 있습니다.

 문제는 코어근육조직(core muscle tissue)이 기타 조직(tissue)에 비해 유연(flexibility)한 것이다.

 하지만 근육조직(muscle tissue)은 다른 신체 조직(tissue)에 비해서 엘라스틴 섬유(elastic fiber)가 풍부합니다. 이로 인해 근육조직(muscle tissue)은 더 큰 유연성(flexibility)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것은 근육조직(muscle tissue)이 다른 조직(tissue)에 비해서 더 큰 길이 변화(length change)가 야기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유연성(flexibility)이 큰 만큼, 그러니까 길이적인 변화(length change)가 큰 만큼, 이러한 성격과 연관되어 야기될 수 있는 구조적 또는 기능적 부전(structural & functional defect)들은 대단히 다양합니다. 당연히 이러한 부정적 영향들은 근육(muscle)에서의 장력(tension)을 효율적으로 생성해내지 못하게 만들 것입니다.
 이러한 사항은 단순히 근육(muscle)이 처할 수 있는 크고 작은 부정적 부전(defect)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수행하게 되는 보편적인 코어운동(core training)들의 지속적인 수행으로도 야기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왜 그런 것일까요.

 

코어근육(core muscle)의 부작용(side effect)과 함께, 새롭게 바라보는 관점

김형욱의 칼럼언어 저는 매번 칼럼을 쓰기 전에는 글을 쓰는 행위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거칩니다. 전달하고 싶은 주제를 정하고, 어떤 식으로 글이 읽히면 좋을지 고민하는 일은 오래된 저의

ptful.tistory.com

 코어(core)의 수축패턴(contraction patten)은 적응된다. 그리고 그에 따라 다른 조직(tissue)의 쓰임도 수반된다.

 이전에도 이야기했지만, 조금은 다른 의미로 전해질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수행하게 되는 움직임(movement)은, 학습된 운동(learned training)으로써 운동조절(motor control)을 발휘합니다. 당연히 코어근육(core muscle)이 발휘하게 될 코어 컨트롤 능력(core control ability)도 그렇습니다. 일반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코어운동(core training)들은 일방적인 방향(direction)과 각도(angle)로만 움직임(movement)이 수행되어집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다시 중립 자세(neutral posture) 및 움직임(neutral movement)으로 회귀하려 할 때, 매번 같은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수동장력(passive tension)을 발휘하는 조직(tissue)들은 주동적인 역할로써 사용되고 있는 코어근육(core muscle)의 반대편에 위치(opposite position)할 것입니다.
 정교화된 코어 컨트롤 능력(core control ability)을 코어근육(core muscle)으로부터 이끌어내고 있다면, 그러니까 그것이 인체 깊숙이 위치하고 있는 척추 분절(spinal segment)의 움직임(movement)을 코어근육(core muscle)이 미세하게 조절(control)하고 있다면, 그들은 우리에게 있어 상대적으로 표층(superficial)의 근육(muscle)보다는 컨트롤(control)하기 어렵습니다. 설사 할 수 있다 하더라도 근육(muscle)의 고유작용(unique action)이라고 할 수 있는 동심성 방향(concentric direction)으로의 수축(contraction)일 것입니다. 이것을 효율적으로 척추 분절(spinal segment)이 원상 복귀가 될 때까지 코어근육(core muscle)을 조절(control)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들은 코어 컨트롤 능력(core control ability)에 대해서 근육조직(muscle tissue)이 아닌 조직(tissue)들로부터 파생될 수 있는 기능(function)을 훈련(training)시키고 극대화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척추 분절(spinal segment)이 불안정(instability)할 때

 불안정(instability)한 척추 분절(spinal segment), 그것이 비록 일상생활 중이든, 혹은 의도적인 훈련 상황이든 상관없이 모든 상황에서의 불안정(instability)한 척추 분절(spinal segment)을 안정적으로 잡아내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점에서의 코어근육 활성화(core muscle activation)가 필요합니다. 근육(muscle)은 저마다 주행하고 있는 섬유 배열 방향(fibrous arrangement direction)이 다르고, 섬유 조직 형태(fibrous tissue shape)의 비율에 따라 길이적인 변화(length change) 가능성도 다릅니다. 모든 근육(muscle)은 자기 스스로 타고난 섬유 배열 방향(fibrous arrangement direction)과 비교적 일치하는 움직임(movement) 변화에, 그리고 스스로 타고난 섬유 조직 형태(fibrous tissue shape)의 비율에 따른 길이적 변화(length change) 임계치(threshold) 바로 직전 단계 내에서의 움직임(movement) 변화에 가장 잘 기능(function)합니다. (다른 요소들도 존재하겠지만) 물리적인 조건들만 보자면, 이와 같은 두 가지 조건이 코어근육(core muscle)에게 있어 불안정(instability)한 척추 분절(spinal segment)을 잡아내는 데에 가장 큰 요인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두 가지 물리적 조건을 고려한다 하더라도, 척추 분절(spinal segment)을 잡아내는 데에 있어, 그리고 나아가 척추 분절(spinal segment)을 조절(control)하는 데에 있어 코어근육(core muscle)만으로는 불가능합니다. 근육(muscle)은 관절(joint)에게 있어 다양한 방향(direction)에서의 움직임(movement) 변화를 수용할 수 있지만 (관절(joint)이 형성되는 각도(angle)와 일치하지 않는, 혹은 관절(joint) 공간을 멀리 경유(passing)하며 형성되기 때문에), 관절(joint)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다른 연부조직(soft tissue)들과 함께 비교했을 때에는, 움직임(movement) 변화에 수반되는 관절(joint)의 위치적 중립 상태(normal state)를 잡아내는 데에는 그 능력(ability)이 대단히 부족합니다.

 척추 분절(spinal segment)을 빠르게 잡아낼 수 있다면

 그런 의미에서 변화되는 척추 분절(spinal segment)을 안정적으로 잡아낼 수 있다면, 동시에 그러한 과정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면, 이것이야말로 척추 분절(spinal segment)에 가해지는 코어 컨트롤 능력(core control ability)의 최상급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의 이야기를 읽어왔다면, 이러한 능력(ability)을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 잘 알게 되었을 겁니다. 지금까지 언급한 최적의 코어 컨트롤 능력(core control ability)을 갖추기 위해서는 단방향적인 코어운동(core training)이 아닌 다방향적인 코어운동(core training)을 통한 다양한 근육 동원(muscle recruitment)의 패턴(pattern)을 학습(learning)시켜줘야 할 것이고, 코어(core)를 이루고 있는 근육조직(muscle tissue) 못지않게, 기타 연부조직(soft tissue)들이 척추 분절(spinal segment)을 더 잘 잡아낼 수 있고 더 잘 조절(control)할 수 있도록 하는 코어운동(core training)의 수행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척추 분절(spinal segment)이 중립(neutral)에서 벗어난 상태에서는 움직이고자 하는 방향(movement direction) 반대편(opposition)에 위치하고 있는 조직(tissue)들은 상대적으로 신장된 상태(extended state)에 접어들게 됩니다. 이들은 다시 중립 상태(normal state)로 회귀하면서 원래의 길이(neutral length) 및 장력(neutral tension) 상태로 돌아오겠지만, 이것은 신장된 근육조직(extended muscle tissue)들이 다시금 원래의 위치(neutral position)대로 잘 수축(contraction)하는 것 이상으로, 근육조직(muscle tissue) 이외의 조직(tissue)들을 강조했던 것처럼, 한편으로는 기타 연부조직(soft tissue)들이 신장된 상태(extended state)에서 다시금 원래의 상태(neutral state)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근육조직(muscle tissue)들의 회귀능력(return ability)을 더욱 극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합니다. 결과적으로 척추 분절(spinal segment)에 가해지는 코어 컨트롤 능력(core control ability)이란, 동적인 구조물(dynamic structure) 못지않게 정적인 구조물(static structure)의 능력(ability)이 중요한 셈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코어운동(core training)이라고 해서, 또한 코어운동(core training) 자체가 보편적으로 많은 길이 변화(length change)가 수반되지 않는 현실에 대하여, 보다 더 안정적이면서 가동적인 훈련(stability & mobility training)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합니다.


 

김형욱이 읽어주는 '척추 분절(spinal segment)에 가해지는 코어 컨트롤 능력(core control ability)'

 많은 사람들은 코어 기능 발달(core function development)을 위해 코어운동(core training)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단히 정적으로만 수행하고 있지만, 이것은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한 것과 같이 그렇게 안정적인 코어 컨트롤 능력(core control ability)을 만들어주지 못합니다. 이에 못지않게 동적으로 수행(dynamic training)하는 것을 포함하여, 비교적 정적으로 수행(static training)하더라도 근육(muscle)과 같은 동적인 구조물(dynamic structure)로써 코어(core)를 끌어내는 것 이상으로 정적인 구조물(static structure)로 코어(core)를 끌어낼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내용들은 당연히 우리에게 있어 계속해서 근육조직(muscle tissue)에 대해서만 강조하고 집중했던 편협한 시각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리고 훈련의 다양화(training variation)와 함께, 인체 조직(tissue)의 유기적이면서도 균형적인 능력 발달(ability development)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 본 포스팅은 직접 작성한 글로, 2차 가공 및 상업적인 이용을 금지합니다.
 · 바디투마인드(http://bodytomind.kr)는 피트니스 교육기관입니다.
 · 뷰전(http://biewsion.kr)은 피트니스 올인원 플랫폼입니다.
 · 오픈채팅방(http://open.kakao.com/o/gfHTXf0c)을 통해서 최신 소식을 접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