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욱의 말랑말랑 해부학

    myopachynsis 1

    신장성 수축(eccentric contraction)이 근비대(myopachynsis) 목적에만 좋은 것은 아닙니다.

    김형욱의 칼럼언어 수축 양식(contraction pattern)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넓게는 등장성(isotonic)과 비등장성(non-isotonic)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보다 더 세세하게는 등장성(isotonic)에 속하게 되는 단축성(concentric)과 신장성(eccentric)으로까지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그리고 움직이면 다양한 수축 양식(contraction pattern)을 발휘하게 됩니다. 그래야만 인체를 효율적으로 지지(supporting)하고 움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수축 양식(contraction pattern) 중 무엇이 더 좋고 나쁘고는 없습니다. 서로 다른 특징과, 개별 수축 양식(contraction pattern)이 발휘되어야 할 상황은..

    김형욱의 칼럼언어 2021.07.07
    1
    더보기
    프로필사진

    바디투마인드 김형욱입니다. 해부학, 신경학, 역학, 생리학, 영양학 등의 피트니스 전문 칼럼을 작성합니다.

    공지사항

    • 바디투마인드 (213)
      • 논문 읽어주는 남자 (50)
      • 김형욱의 칼럼언어 (160)
      • 사람 읽은 경험서 (3)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 홈페이지
    • 공식카페
    • 오픈채팅방

    티스토리툴바